2023년 1회 차 합격자가 알려드리는 문제요약정리하여 올려드리겠습니다. 각 문제마다 Tip을 적었습니다. 모두 읽어보시고 어떤 방식으로 외워야 하는지 감이 오셔야 쉽게 이해가 갑니다. 공부하셔서 한 번에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합격자 발표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니 아까운 시간 버리지 마시길 바랍니다.
1. 2020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3회차 문제정리
Q1. 고장 관련 용어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답 : MTTF : 가동 이후 고장까지의 평균시간, MTTR : 고장 발생 순간부터 수리 완료 후 정상작동 시까지의 평균시간
Q2.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재해를 분석하시오.
바닥이 기름으로 인해서 미끄럽다. 작업자가 작업장 통로를 걷다가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밀링 기계에 머리를 "부딪쳐" 부상을 당해 7일간 병원에 입원한다.
- 사고유형 : 넘어짐
- 기인물 : 기름
- 가해물 : 밀링 기계
Tip : 사고유형 : 사고전 어떤 방식인지, 기인물 : 최초 사고발생원인, 가해물 : 사람에게 가하는 물
Q3. 다음 가드에 대해 설명하시오.
- 고정가드 : 움직일 수 없는 방호장치
- 인터록가드 : 가동식 가드가 연동장치와 조합된 방호장치
Tip : 최대한 짧게 정리하였습니다.
Q4. 안전표지 이름을 쓰시오. (단,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명칭으로 정확하게 써야 함.)
- 낙하물경고, 폭발성 물질 경고, 보안면 착용
Tip : 도형만 외워도 경고인지 착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외워야 하고, 도형별 5~7개씩은 외워야 합니다.
Q5. 60rpm으로 회전하는 롤러기의 앞면 롤러기의 지름이 120mm인 경우 앞면 롤러의 표면속도와 관련 규정에 따른 급정지거리 mm를 구하시오.
1) V(표면속도)= π X D X N / 1000 = 22.619m/min, 2) 급정지거리 기준 : 표면속도가 30m/min 미만이면 원주의 1/3 이내
3) 급정지 거리 = π X D X 1/3 = 파이 X 120 X 1/3 = 125.663mm 이내
Tip : 표면속도 30m/min 미만 : 앞면롤러의원주의 1/3, 표면속도 30m/min 이상 :앞면롤러의 원주의 1/2.5
Q6. 고용노동부장관이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종합적인 개선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사업장의 사업주에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사업장 시설 그 밖의 사항에 관한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개선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것을 명할 수 있는 3가지를 쓰시오.
- 사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을 초과한 사업장
TIp : 4가지 모두 안전 및 보건에 미흡한 사업장입니다. ( 사사직유)
Q7. 사면 토사 붕괴 종류 3가지를 쓰시오.
- 사면 천단부 붕괴
- 사면 중심부 붕괴
- 사면 하단부 붕괴
Tip : 쉽게 얘기하자면 상 중 하 로 나뉘어 외우시면 됩니다. (하늘 천 = 높은 = 상)으로 외우시고 천중하로 외우시면 됩니다.
Q8. 변전설비에서 MOF의 한글명칭과 역할 1가지를 쓰시오.
답 : MOF의 명칭 : 계측용 변성기, MOF의 정의 : 전력량을 적산하기 위해 계기용 변압기와 계기용 변류기를 하나의 함에 저장한 것
Q9.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시행해야 하는 안전보건교육의 종류 4가지를 쓰시오.
- 정기교육
- 채용 시 교육
-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 특별교육
Tip : 정채작별 (마지막에는 별로 하였습니다)
Q10. 슬레이트, 선라이트 등 강도가 약한 재료로 덮은 지붕 위에서 작업을 할 때에 발이 빠지는 등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 사업주가 해야 하는 필요 조치 2가지를 쓰시오.
- 폭 30cm 이상의 발판을 설치
- 추락방호망 설치
Q11. 시기로 구분한 기계고장종류 3가지와 고장률공식을 쓰시오.
- 고장종류 : 1. 초기고장 2. 우발고장 3. 마모고장
- 고장률공식: 고장건수/총 가동시간
Q12. 산업안전보건법상 다음 기계, 기구에 설치하여야 할 방호장치를 하나씩 쓰시오.
- 금속절단기, 예초기 : 날접촉 예방장치
- 원심기 : 회전체 접속 예방장치 (회전하는 기계)
- 공기압축기 : 압력방출장치(공기를 압축으로 인한 폭발위험성이 많다.)
- 지게차 : 헤드가드, 백레스트, 전조등, 후미등, 안전벨트
Q13. 이황화탄소의 폭발상한계가 44.0 Vol%, 하한계가 1.2 vol% 라면 이 물질의 위험도를 계산하시오.
답 : 위험도 = ( U-L)/ L = (44-1.2) / 1.2 = 35.67
설명 : U : 폭발상한계, L : 폭발하한계
아래 링크를 눌러 다음 회차를 공부하러 가도록 하죠~
2023.06.29 -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과년도 문제정리] - 2020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4회 차 문제정리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과년도 문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1회차 문제정리 (0) | 2023.07.02 |
---|---|
2020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2회차 문제정리 (0) | 2023.07.02 |
2020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4회차 문제정리 (0) | 2023.06.29 |
2021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1회차 문제정리 (0) | 2023.06.28 |
2021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2회차 문제정리 (0) | 2023.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