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16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2회 차 문제정리
Q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종류 4가지를 쓰시오.
- 갱폼
- 슬립 폼
- 클라이밍 폼
- 터널 라이닝 폼
Q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는 밀폐공간에서 근로자에게 작업을 하는 경우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내용을 3가지 쓰시오.
- 사업장 내 밀폐공간의 위치 파악 및 관리방안
- 밀폐공간 작업 시 사전 확인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확인 절차
- 안전보건교육 및 훈련
Q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다음의 와이어로프를 달비계에 사용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이유와 함께 적으시오.
- 공칭 지름 : 10mm, 현재 지름 : 9.2mm
답 : 불가능 , 공칭지름 감소율이 8%이므로 기준 7% 초과 시 사용금지입니다.
Q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이 안전진단 등 안전성 평가를 하여 근로자에게 미칠 위험성을 미리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를 2가지만 쓰시오. (단, 그 밖의 잠재위험이 예상될 경우 제외)
- 화재 등으로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의 내력이 심하게 저하되었을 경우
-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아니하던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을 재사용하게 되어 안전성을 검토하여야 하는 경우
Tip : 유사한 시설물 내력 심하게 저하, 오랜 기간 사용 안 하여 안정성 검토필요
Q5. 근로자가 1시간 동안 분당 6Kcal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 60분간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시간 : R = 60X(6-5) / (6-1.5) = 13.33분
- 60분간에 포함되어야 하는 순수작업시간(단, 작업에 대한 권장 에너지 소비량은 분 5Kcal) : 60 - 13.33 = 46.67분
Q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고용노동부장관이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종합적인 개선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사업장의 사업주에게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것을 명할 수 있는 2가지를 쓰시오.
-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Tip : 질문에 안전보건진단이 들어가면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이고, 안전보건진단이 없다면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입니다.
Q7. 산업현장에서 컬러세러피에 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색채를 쓰시오.
색채 심리
- (빨간색) : 열정 생기 공포 애정 용기
- (노란색) : 주의 조심 희망 광명 향상
- (녹색 ) : 안전 안식 평화 위안
- (파란색) : 진정 냉담 소극 소원
- (보라색) : 우울 불안 고취
Q8. 하인리히가 제시한 재해예방의 4원칙을 쓰시오.
- 예방가능
- 손실우연
- 원인연계
- 대책선정
Q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가설통로 설치 시 사업주의 준수사항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경사가 (15)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m 이상인 경우에는 (10)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
-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
Q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가 상시 작업하는 장소에서 사업주가 맞도록 하여야 하는 작업면 조도 기준을 ( )에 쓰시오.
- 초정밀 작업 (750) Lux 이상
- 정밀작업 (300) Lux 이상
- 보통작업(150) Lux 이상
- 그 밖의 작업 (75) Lux 이상
Q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는 유자격자가 충전전로 인근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절연된 경우 혹은 절연장갑을 착용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노출 충전부에 접근한계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절연 손잡이가 없는 도전체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 아래의 충전전로의 선간전압 (kV)에 따른 충전전로에 대한 접근 한계거리(cm)를 쓰시오.
- 220V -접촉금지
- 1kV - 45cm
- 22kV - 90cm
- 154kV - 170cm
Q12.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 상, 방진마스크 관련해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석면취급 장소에서 착용 가능한 방진마스크의 등급 : 특급
- 금속 흄 등과 같이 열적으로 생기는 분진 등 발생장소에서 착용가능한 방진 마스크 등급 : 1급
- 베릴륨 등과 같이 독성이 강한 물질을 함유한 장소에서 착용 가능한 방진 마스크의 등급 : 특급
- 산소농도 ( 18 )% 미만인 장소에서는 방진마스크 착용을 금지한다.
- 안면부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 1 )% 부피분율 이하 이어야 한다.
Q13. 공기압축기의 서징 방지대책을 4가지 쓰시오.
- 배관의 경사를 완만하게 한다.
- 회전수를 변화시킨다.
- 방축밸브를 이용하여 배관 내의 잔류 공기를 제거한다.
- 교축밸브를 기계에 근접 설치한다.
2016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2회 차 문제정리를 하였습니다. 기출문제만 외우신다면 충분히 합격하실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는 다음 회차로 이동하여 계속 공부하도록 해봅시다.
2023.07.09 -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과년도 문제정리] - 2016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3회 차 문제정리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과년도 문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1회차 문제정리 (2) | 2023.07.09 |
---|---|
2016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3회차 문제정리 (0) | 2023.07.09 |
2017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1회차 문제 정리 (0) | 2023.07.09 |
2017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2회차 문제정리 (0) | 2023.07.07 |
2017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3회차 문제정리 (0) | 2023.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