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과년도 문제정리

2018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1회차 문제정리

by 큼이큼이 2023. 7. 4.
반응형

저는 2023년 1회차 자격증 합격자로 실기 필답형이 제일 중요한 만큼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 제가 나름 정리를 하였고, 외우는 방법들도 정리하였습니다. 처음공부를 하실때 이 방식이 맞나 고민하셨을텐데, 고민하지마시고 제 글만 보고 열심히 하시면 안정적으로 합격을 하실수 있으실겁니다.

1. 2018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1회 차 문제정리

Q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공기압축기를 가동할 때 작업시작 전 사업주가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점검하도록 해야 할 사항을 4가지를 쓰시오.

  • 압력방출장치 기능
  • 언로드밸브의 기능
  • 윤활유의 상태
  •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Tip : 압언윤회로 외우시길 바랍니다.

 

Q2.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5가지 쓰시오. (단, 그 밖에 안전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은 제외)

  • 위험성평가에 관한 보좌 및 지도, 조언
  •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지도, 조언
  • 사업장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 건의
  • 안전에 관한  사항의 이행에 관한 보좌 및 지도, 조언
  • 업무 수행 내용 기록, 유지

Tip : 제일 짧은 거 5개를 정하였습니다. 본인이 외우기 편한 대로 앞 글자만 따서 외우시길 추천드립니다.

 

Q3. 휴먼에러에서 Swain의 심리적 분류 4가지를 쓰시오.

  • 생략 에러
  • 실행에러
  • 순서에러
  • 시간에러

Tip : "ㅅ" 모두 시옷으로 시작하는 글자로 외우시길 바랍니다. 익숙해지면 술술 나올 겁니다.

 

Q4.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고시상, 롤러기의 방호장치인 급정지장치 관련하여 다음 표 안에 (  )를 채우시오.

종류 : 조작부의 설치위치

  • 손조작식 : 밑면에서 1.8m 이내
  • 복부조작식 : 밑면에서 ( 0.8 ) m 이상 ( 1.1 ) m 이내
  • 무릎조작식 : 밑면에서 ( 0.6 ) m 이내

Tip : 숫자만 외우시지 마시고 모두 외우시길 바랍니다. 특히 밑면에서를 외워서 작성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Q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위험장소 경고표시를 그림으로 그리고, 다음 보기의 사항은 글로 표시하시오.

위험장소 경고 표지
위험장소 경고 표지

  • 바탕 : 노란색
  • 테두리 색 : 검은색
  • 기호의 색 : 검은색

Q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비, 눈, 그 밖의 기상상태의 악화로 작업을 중지시킨 후 또는 비계를 조립, 해체하거나 변경한 후에 그 비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해당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사업주가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보수하여야 할 항목을 4가지만 쓰시오.

  • 발판재료의 손상여부 및 부착 또는 걸림 상태
  • 해당 비계의 연결부 또는 접속부의 풀림 상태
  • 연결재료 및 연결철물의 손상 또는 부식 상태
  • 손잡이의 탈락 여부
  • 로프의 부착 상태 및 매단 장치의 흔들림 상태

Tip : 저도 4가지를 외웠는데 시험에 5가지를 쓰라고 나온 적이 있었습니다. 4가지를 외우시고 1가지는 외우지 않아도 나중에 풀어서 쓸 수 있을 정도면 점수로 인정해 줄 수 있습니다.

 

Q7. 인간과 기계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인간 신뢰도가 0.8% 일 때 시스템의 종합 신뢰도가 0.7 이상이 되려면 기계 신뢰도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인간 신뢰도 X 기계 신뢰도 = 종합 신뢰도에서 0.8X 기계 신뢰도 = 0.7 이므로 기계 신뢰도 = 0.7 / 0.8 = 0.875

Q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다음 작업을 하는 근로자에 대해서 근로자 수 이상으로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하여야 하는 보호구를 (  ) 안에 쓰시오.

  • 높이 또는 깊이 2m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하는 작업 : ( 안전대 )
  • 물체의 낙하, 충격, 물체의 끼임, 감전 또는 정전기의 대전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 : ( 안전화 )
  • 고열에 의한 화상 등의 위험이 있는 작업 : ( 방열복 )

Q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력을 사용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하여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한 사업주의 준수 사항 관련해서 (  ) 안을 채우시오.

  •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아웃트리거ㆍ받침 등 지지구조물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 ① 깔판ㆍ깔목 )  등을 사용할 것
  •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할 것
  • 아웃트리거ㆍ받침 등 지지구조물이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 ② 말뚝 또는 쐐기 ) 등을 사용하여 해당 지지구조물을 고정시킬 것
  • 궤도 또는 차로 이동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해서는 불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 ③ 레일 클램프(rail clamp) 및 쐐기 ) 등으로 고정시킬 것
  • 상단 부분은 버팀대, 버팀줄로 고정하여 안정시키고, 그 하단 부분은 견고한 ( ④ 버팀, 말뚝 또는 철골 ) 등으로 고정시킬 것

Q10.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누전차단기를 접속하는 경우에 사업주의 준수사항 관련 아래 빈칸에 알맞은 숫자를 넣으시오.

  • 전기기계, 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누전차단기를 정격감도전류가 ( 30 ) mA 이하이고 작동시간은 ( 0.03 ) 초 이내일 것.
  • 다만, 정격 전부하전류가 50A 이상인 전기기계, 기구에 접속되는 누전차단기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격감도전류는 ( 200 ) mA이하로, 작동시작은 ( 0.1 ) 초 이내로 할 수 있다.

Q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화학설비의 탱크 내 작업에서 사업자가 근로자에게 실시해야 하는 특별안전, 보건교육의 내용을 3가지 쓰시오. (단, 그밖에 안전, 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

  • 차단장치, 정지장치 및 밸브 개폐장치의 점검에 관한 사항
  • 탱크 내의 산소농도 측정 및 작업환경에 관한 사항
  • 안전보호구 및 이상 발생 시 응급조치에 관한 사항
  • 작업절차, 방법 및 유해, 위험에 관한 사항

Tip : 탱크 내부 작업교육 ( 차단, 정지, 개폐장치 )(산소농도 측정)(안전보호구)(작업절차) 4가지 키워드에 관한 항목을 외우시면 편합니다.

 

Q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방호조치를 해체하려는 경우, 사업주와 근로자가 하여야 필요한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를 각각 쓰시오.

  • 방호조치를 해체하려는 경우 : 사업주의 허가를 받아 해체할 것
  • 방호조치 해체 사유가 소멸된 경우 : 방호조치를 지체 없이 원상으로 회복시킬 것
  • 방호조치의 기능이 상실된 것을 발견한 경우 : 지체 없이 사업주에게 신고할 것

2018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1회 차에 관한 문제정리하였습니다.

아래 링크는 2018년 2회 차 문제/정리입니다. 다음 차수 공부하러 가보도록 합시다.

2023.07.04 -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과년도 문제정리] - 2018년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2회 차 문제정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