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2024년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 및 소득분위 계산법

by 큼이큼이 2024. 1. 5.
반응형

오늘은 2024년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 및 소득분위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장학금 I유형으로 학생직접지원형으로써 소득 수준에 연계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혜택을 주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국가장학금입니다. 소득기준 및 소득분위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 테니 보시고 신청을 하셔서 혜택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1.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

소득평가액(월) 재산의 소득환산액(월) 소득환산율(월) 형제·자매 수에 따른 공제액
소득·소득공제 (재산-기본재산액-부채) X 월소득환산율
※ 자동차의 경우 기본재산액 공제·부채 차감 대상에서 제외
일반재산 : 월 4.17% / 3
자 동 차 : 월 4.17% / 3
금융재산 :월 6.26% / 3
(본인 포함 형제·자매 수 -2) X 1인당 공제액*
* 1인당 공제액 : 40만원
※ 다자녀 가구 (3자녀 이상)의 미혼 학생만 적용
※ 형제·자매 수에 따른 공제 시 이혼 후 관계절단인 부모의 자녀는 반영하지 않으며, 형제·자매가 외국인,사망 후 1년 이상 경과,말소인 경우 등은 형제·자매 수에서 제외함

 

◎ 각종 소득의 유형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기타소득
상시근로소득,일용근로소득 등 농,임,어업소득, 기타 사업소득 등 임대소득,연금소득 등 공적이전소득 등

 

◎ 각종 재산의 유형

일반재산 금융재산 자동차
토지, 건축물(주택), 전월세보증금(임차보증금) 등 예금,적금,주식,보험 등 승용차,승합차,화물차, 특수자동차 등

 

◎ 기본공제액 ( 기본 재산액)

기본공제 6,900만원 (가구의 기본적 생활 유지에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소득환산에서 제외되는 재산가액)
소득공제 · 신청인 (학생)의 근로,사업소득은 130만원 정액공제
· 신청인 (학생) 및 가구원의 일용근로소득은 50% 정률공제 (단, 신청인(학생)은 정액공제금액과 정률공제금액 중 큰 금액을 적용)

 

◎ 부채

  •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조사되는 금융기관(한국주택금융공사 포함) 부채
  • 신용카드 연체금 (미결제금) 부채 반영 (단, 3개월 이상 연체된 50만원 이상의 신용카드 미결제금의 원금에 한함)
  • 마이너스 통장, 한도대출, 기업대출, 카드론 등 제외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 전,월세 임대보증금 등
  • 부채는 일반재산에서 차감 후, 잔여액은 금융재산에서 차감됨

◎ 월 소득환산율,가액기준

구분 일반재산 금융재산 자동차
월 소득환산율 4.17% / 3 6.26% / 3 4.17% / 3
가액기준 시가표준액 등 조회 가액 보험개발원 가액 등

 

◎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

구분 학자금 지원구간 경계값 기준 중위소득 비율
1구간 1,620,289원(이하) 30%
2구간 2,700,482원(이하) 50%
3구간 3,780,675원(이하) 70%
4구간 4,860,868원(이하) 90%
5구간 5,400,964원(이하) 1000%
6구간 7,021,253원(이하) 130%
7구간 8,101,446원(이하) 150%
8구간 10,801,928원(이하) 200%
9구간 16,202,892원(이하) 300%
10구간 16,202,892원(이하) -

2.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계산법

소득분인정액 계산 예시
소득분인정액 계산 예시

1)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방법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방법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방법

  • 복지자격 여부 : 기초 / 차상위 / 해당 없음 선택
  • 소득 : 학생 소득 입력 / 학생 외 가구원 소득
  • 일반재산 : 주택, 건축물 / 토지 / 임차보증금 / 기타 재산
  • 차량가격 : 보험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차량 기준가액
  • 금융재산 : 현금, 수표, 어음, 주식, 국공채 등 유가증권, 예금, 적금, 부금, 보험, 수익증권 등
  • 부채 : 금융기관 대출금, 임대보증금,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잔액 등

모두 입력하시고 모의계산을 하시면 위에 예시를 통해 나오게 됩니다. 위에 모의계산 결과는 입력하신 자료를 기초로 제공되며, 실제로 정확한 선정 여부 판단은 서비스 신청을 하신 후 공적자료 조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오니 조회하신 결과는 단순 참고용으로 쓰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소득분위 기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해당 기준에 적합하다면 신청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