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보이스피싱 범죄 사례
- 정부기관 사칭형 - 보이스피싱 사기범죄자는 검찰 소속 수사관을 사칭하여, 검거한 범인이 피해자의 계좌를 대포통장으로 사용하고 있어 계좌 안전조치가 필요하니, 금감원에서 관리하는 계좌를 통해 본인의 모든 자금을 이체하여 보관하도록 하여 이체를 하면 모든 자금을 빼가는 범죄사례
- (대출 빙자형 1) 사기범죄자는 oo은행을 사칭하여, 피해자의 신용등급이 낮아도 대출이 가능하다면서 유인을 하여, 대출진행비와 선납이 자를 요구를 하고 피해자가 송금을 하자마자 출금 후 잠적을 하는 범죄사례
- (대출 빙자형2) 사기범은 정부에서 진행하는 대출을 저금리로 정부지원자금을 받게 해 준다면서 저금리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고금리 대출기록이 있어야 한다며 피해자를 속이고, 대부업체에서 고금리 대출을 받도록 한 후 대추금리상환을 사기범이 확보한 대포통장으로 입금할 것으로 유도하고 잠적하는 사례
- (납치, 협박형) 사기범이 아버지에게 전화를 걸어 당신의 자식을 납치하였다. 사채빚 5천만 원을 갚지 않을 경우 장기를 적출하겠다며, 협박을 하며 목소리도 들려주면서 피해자를 불안하게 만들어 대포통장으로 입금하고 잠적하는 사례
- (대포통장 확보형) 아르바이트 구직사이트의 채용공고를 올려 높은 급여준다며 피해자를 꼬시고, 급여계좌 등록 및 출입증 발급을 핑계로 하여 통장 및 체크카드를 제출요청하고 제출된 것으로 대포통장으로 이용하는 사례
2. 보이스피싱 당했을때 대처방법
- 사기범에게 속아서 자금을 이체한 경우, 사기범이 해당 대포통장에 인출을 하지 못하도록 신속히 경찰 또는 해당 금융회사에 전화를 하여 계좌에 대한 지급정지 조치를 하시기 바랍니다.
- 지급 정지 조치 후 경찰서에 방문하여 피해 신고를 직접방문하여 신고를 하고, 금융회사에 피해금 환급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 해당 계좌에 피해금이 인출되지 않고 남아잇는 경우 피해금 환급제도에 따라 별도의 소송절차 없이 피해금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 보이스피싱범이 핸드폰에 어플을 설치하도록 유도했다면 빠르게 삭제하시길 바랍니다.
첫 번째 항목이 제일 중요하므로 자금이 인출되지 않도록 지급정지 조치를 꼭 하시길 바랍니다.
3.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 전화로 정부기관이라면서 본인의 자금을 상세히 물어보고 자금 이체를 요구한다면 일단 보이스피싱 의심
- 전화, 문자로 대출 권유받는 경우 무대응 또는 금융회사 여부 확인 ( URL로 설치하지 말고 직접 앱스토어 또는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설치)
- 대출 처리비용 등을 이유로 선입금 요구시 보이스피싱을 의심
- 저금리 대출 위한 고금리 대출 권유는 100% 보이스피싱
- 납치, 협박 전화를 받는 겨우 자녀 안전부터 확인 ( 자녀 핸드폰 번호로 전화 걸기 )
- 높은 급여를 미끼로 채용공고 후 계좌 비밀번호 등 통장 및 체크카드를 요구 시 보이스피싱 의심
- 가족 등 사칭 금전 요구시 먼저 본인 확인을 통해 입금
- 출처 불명 파일, 문자, 이메일은 호기심으로 클릭하지 말고 삭제할 것
- 금감원 팝업창 뜨고 금융거래 정보 입력 요구 시 100% 보이스피싱
- 보이스피싱 피해발생시 즉시 신고 후 피해금 환급 신청할 것
이상으로 보이스피싱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사례들을 익히고, 혹시 모를 사기에 당했을 경우 빠르게 대처하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
반응형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지원 신청 및 절차 (0) | 2023.08.14 |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2유형 대상 비교 (0) | 2023.08.14 |
특례시 기준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3.08.10 |
특례시로 변경되면 얻을수 있는 혜택 (0) | 2023.08.10 |
특례시에 대해 완벽정리 (0) | 2023.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