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156 치매 치료관리 지원내용 및 신청서류,신청방법 오늘은 치매 치료관리 지원내용 및 신청서류와 신청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치매는 굉장히 무서운 병이기도 합니다. 빠른 치료가 중요하기 때문에 시기를 놓치시면 치료하기 힘든 병이기도 합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치료관리지원에 대해 알고 신청하여 혜택을 보시면 좋으실 것 같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치매 치료관리지원이란? 치매 치료관리 지원이란 치매를 조기에 지속적으로 치료를 함으로써 치매증상을 완화시켜면서 증상 심화를 방지하여 노후 및 가족들의 삶의 질 제고 및 사회경제적 비용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 지원정책입니다. 2. 치매 치료관리 지원내용 및 지원대상 1) 치매치료관리 지원 내용 치매치료관리비 보험급여분 중 본인 부다 금에 대해 월 3만 원씩 지원(최대 연 36만 원까지) 상한 .. 2024. 2. 3. 실업급여 입금일, 실업급여 신청방법, 실업급여 수급자격,해당요건,지급액 오늘은 실업급여 입금일 및 신청방법, 수급자격 해당요건, 지급액 여러 가지 궁금하실 거 모아서 총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실업급여에 신청하실분들은 글을 자세히 확인하셔서 신청을 하시고 대상이신지 확인해 보셔서 혜택을 꼭 보시길 바랍니다. 1. 실업급여 입급일 실업급여 신청일로부터 15일째 되는 날입니다. 다만, 입금일이 법정공휴일인 경우에는 익일 입금됩니다. 2. 실업급여 신청방법 고용보험법 제40조에 따른 요건을 충족할 경우 실업급여를 신청이 가능합니다. 퇴사 후 지체 없이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실업을 신고하고 실업급여 수급자격을 신청하고, 퇴직 당시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서 120일 ~ 270일까지 퇴직 직전 평균임금의 60%가 지급됩니다. 1) 실업급여 신청방법 전산망(www.wo.. 2024. 1. 24. 실업급여 신청전 알바,실업급여 수급중 알바,실업급여 신고소득 오늘은 실업급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업급여는 고용보험법에서 정하고 있어 크게 정리하자면 실직자의 생계안정을 위한 지급하는 구직급여와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취업촉진수당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구직급여에는 연장급여 및 상병급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회사에서 월급의 일정 부분을 고용보험에 가입을 하게끔 정해져 있어서 갑작스럽게 실직을 하게 될 경우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입니다. 1. 실업급여 신청 전 알바 실업급여 신청 전 알바 또는 실업급여 신청 후 대기기간 중에 알바를 진행해도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신 거 같습니다. 신청 전 알바가 가능한 시간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실업급여 신청 전 및 대기기간 중에 취업을 하게 될 경우 수급신청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수급기간이 아니며 .. 2024. 1. 24.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온라인,기간,준비물,과태료 총정리드립니다. 오늘은 운전면허에 대해 한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운전면허를 따시고 시간이 지나면 면허갱신을 해야 합니다. 면허 갱신을 위해서는 준비물, 적성검사를 하고 기간 안에 갱신을 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할 경우 과태료까지 부과되오니 너무 바쁘게 살아오다 보니 깜빡할 수도 있습니다. 과태료 부과되지 않도록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운전면허 적성검사 먼허갱신 적성검사(1종 면허, 70세 이상 2종 면허) 및 2종 면허갱신 : 전국면허 시험장 또는 경찰서 교통민원실 (강남경찰서는 적성검사, 면허갱신 업무를 하지 않으므로 인접한 강남면허시험장을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일반의료기관(의사 실인 필수)에서 발급한 진단서나 건강검진결과 내역 확인(시험장 및 경찰서 방문 시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시 활용 가능)으로 신체.. 2024. 1. 13. 출산전후휴가 사용,출산전후휴가 급여지원,배우자(남편)출산휴가 안내 오늘은 출산전후휴가의 사용 및 출산전후휴가 급여지원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요즘은 배우자 출산휴가들도 많이 쓰고 있는 추세입니다. 아내뿐만 아니라 남편들도 많이 육아에 참여하면서 출산휴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자세히 알아보시고 최대한 혜택을 누리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1. 출산전후휴가 사용 사용자는 임신 중의 여성에게 출산 전과 출산 후를 통하여 90일의 출산전후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이 경우 휴가 기간의 배정은 출산 후에 최소 45일 이상이 되어야 하며, 90일을 연속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임신 중인 여성이 한 번에 둘 이상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120일의 출산전후휴가를 주어야 하며, 이 경우 휴가 기간의 배정은 출산 후 60일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다만, 임신중인 여성근로자가.. 2024. 1. 12. 임신 단축근무 기간, 임신 단축근무 신청서, 임신 근무시간 변경 오늘은 임신 단축근무 기간 및 임신 단축근무 변경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렸습니다. 임신부들을 위한 법적으로 정해진 부분은 모두 적당하게 요청을 하시고 규정에 맞게 회사로 신청을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정확하게 알고 대응을 하시면 좋을것 같아 정리해놓았습니다. 1. 임신기간 단축근무 변경기간 사용자는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가 1일 소정근로시간을 유지하면서 업무의 시작 및 종료 시각의 변경을 신청하는 경우 이를 허용하여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74조제9항 본무) (이를 위반할 경우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업무의 시작 및 종료 시각의 변경을 신쳥하려는 여성 근로자는 그 변경 예정일의 3일 전까지 임신기간, 업무의 시작 및 종료 시각의 변경 예정 기간, 업무의 시작 및 종료 시각 등을 적은 문서에.. 2024. 1. 12. 이전 1 ··· 5 6 7 8 9 10 11 ··· 26 다음